본문 바로가기

728x90
반응형
SMALL

RabbitMQ

(3)
Springboot + RabbitMQ DLX 사용하기 DLX 란? Dead Letter Exchange 의 줄인말임. 메세지큐는 큐안에 메세지가 들어있을때 무조건 소비를 해줘야한다. 어떠한 이유로 메세지가 소비가 안되고 계속 남아있을때, 무한히 요청을 한다. 무한히 요청이 되면, 과부하로 인해 메세지큐서버가 다운될 수 있다. 그걸 방지하기위해 메세지 소비가 안될 상황에 흔히 부르는 DLX 큐를 생성해 메세지를 옮겨주는 장소이다. 즉. 메세지소비 시 오류가 생겼을때, 임시로 대피시켜주는 장소라고 보면 된다. 바로 사용해보자 local에 rabbitmq를 띄어 놓기 (도커) docker run -d --name rabbitmq -p 5672:5672 -p 15672:15672 --restart=unless-stopped -e RABBITMQ_DEFAULT_US..
RabbitMQ 큐,바인딩,exchange 생성 자동화 https://yjkim-dev.tistory.com/88 Springboot + RabbitMQ 연동해서 간단하게 사용해보기 먼저 RabbitMQ 를 깔아볼게요. 내 Mac에 설치해도 되지만, 저는 그게 싫어서 docker로 RabbitMQ를 관리해볼게요. 1.Mac에서 설치할 경우 brew update brew install rabbitmq Homebrew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 yjkim-dev.tistory.com 전 시간에 Springboot + RabbitMQ 를 연동하여 간단하게 RabbitMQ의 사용하는 법에 대해 배웠다. RabbitMQ 에서 제공하는 WebUI 에서 우리는 직접 큐를 생성하고, Exchange를 만들고 그랬다. (UI안에서) 이제는 WebUI에서 직접 클릭해서 ..
Springboot + RabbitMQ 연동해서 간단하게 사용해보기 먼저 RabbitMQ 를 깔아볼게요. 내 Mac에 설치해도 되지만, 저는 그게 싫어서 docker로 RabbitMQ를 관리해볼게요. 1.Mac에서 설치할 경우 brew update brew install rabbitmq Homebrew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합니다. 2.docker에서 설치할 경우 docker run -d --name rabbitmq -p 5672:5672 -p 15672:15672 --restart=unless-stopped -e RABBITMQ_DEFAULT_USER=root -e RABBITMQ_DEFAULT_PASS=root rabbitmq:management 설치가 되었고 rabbitMQ는 기본포트가 15672 입니다. http://localhost:15672 접속하시면..

728x90
반응형
LIST